648 0 0 0 1 0 11년전 0

소설 삼십육계 24권

길을 빌려 괵나라를 치듯 세력 확장에 필요한 발판을 만들어라 ‘가도벌괵(假道伐?)’은 쉽게 이해되는 책략이 아니다. 약소국에게 길을 빌려 대국을 쳐서 평정한다는 뜻의 이 책략은 발판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시혜를 베풀고, 이익을 주어 유혹하는 등 이용할 환경을 먼저 조성해야 한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지름길을 만들어 쾌속으로 얻고자 하는 영역에 밀고 들어가야 한다. 춘추시대, 우(虞)와 괵(?)은 형제의 나라였다. 진(晉) 헌공은 중원 재패를 위하여 괵을 치기로 하자 대부 순식(荀息)이 ‘일석이조’의 계책을 세운다. 먼저 벽옥(碧玉)과 양마(良馬) 그리고 미녀(美女)를 미끼로 우공(虞公)을 설득하여 괵나라를 치기 위한 길을 빌리려 했다. 우공은 이러한 보물들을 보자 괵나라..
길을 빌려 괵나라를 치듯 세력 확장에 필요한 발판을 만들어라
‘가도벌괵(假道伐?)’은 쉽게 이해되는 책략이 아니다. 약소국에게 길을 빌려 대국을 쳐서 평정한다는 뜻의 이 책략은 발판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시혜를 베풀고, 이익을 주어 유혹하는 등 이용할 환경을 먼저 조성해야 한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지름길을 만들어 쾌속으로 얻고자 하는 영역에 밀고 들어가야 한다.
춘추시대, 우(虞)와 괵(?)은 형제의 나라였다. 진(晉) 헌공은 중원 재패를 위하여 괵을 치기로 하자 대부 순식(荀息)이 ‘일석이조’의 계책을 세운다. 먼저 벽옥(碧玉)과 양마(良馬) 그리고 미녀(美女)를 미끼로 우공(虞公)을 설득하여 괵나라를 치기 위한 길을 빌리려 했다. 우공은 이러한 보물들을 보자 괵나라와의 의리를 저버리고 진나라에게 길을 내어주고 만다. 현신들이 말렸으나 우공은 듣지 않았다.
진군(晉軍)이 길을 빌려 일거에 괵나라를 멸망시키자 우나라는 고립되고 말았으며, 진군은 회군 도중 순수견양(順手牽羊)으로 우나라를 멸망시키고 만다.
이 같은 역사적 사실은 두 가지 심각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괵공이 맹우(盟友)를 판 것은 자신을 판 것과 같았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진이 우에게 먼저 길을 빌린 후 강점해 버렸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가도(假道)’가 모두 이익만을 위한 것이어서는 안 될 것이다. 장자는 “옛날 지인(至人)은 인(仁)을 길로서 잠시 빌리고 의(義)를 잠시 묵을 곳으로 하여 노닐었다.”고 말하여 ‘가도(街道)’ 즉 길을 빌리는 것도 인의(仁義)를 위한 것이라야 한다고 했다.
1934년 출생. 설창(說唱), 시가, 희극, 평론, 산문, 과학보급문학 등 다양한 장르에서 창작활동을 하고 있으며 극본으로 여러 차례 창작장려상을 수상하였다. 인물들의 감정, 심리 변화, 모순, 위기 등의 묘사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서로는 《소설 삼십육계》 시리즈 중 《미인계》, 《연환계》, 《반간계》, 《가도벌괵》 등이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